25장~30장은 사울의 몰락과 도피 중인 다윗의 이야기들이 겹쳐집니다. 사울과 다윗에게 공통적인 사건들이 여럿 있는데, 이번 주에 읽은 부분에서 아말렉 족속과의 전투 이야기가 나옵니다. 지난 주에 읽었던 15장에는 사울에게는 사무엘을 통해 내려온 하나님의 명령을 2% 다르게 수행하는 바람에 그의 왕위가 하나님께로 버림받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는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사울은 -자기 말로는 하나님께 제사 드리기 위해서- 좋은 양과 소들을 죽이지 않고 챙겨왔다가 사무엘에게 크게 혼이 납니다. 비록 사울이 바로 회개했다고는 하나, 하나님은 마음을 돌이키셨고 그 이후 사울은 쭉 내리막길을 걷게 됩니다.
그런데 30장에선 다윗이 아말렉을 추격하여 물리치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사실 아각 왕까지 포로로 잡아온 사울에 비해, 다윗 일행은 그렇게 포스가 대단하지는 못하였습니다. 승리하기는 했지만, 나중에 불씨가 될 수도 있는 400여명의 젊은 아말렉 청년들은 놓치고 맙니다. 대신 전리품은 원래 빼앗겼던 것보다 더 잔뜩 챙겨왔습니다. 전리품을 나누는데도내부에서 약간의 갈등이 생기기도 했습니다.
조금 우스운 것은 이 전리품들을 유다 족속의 각 성읍장로들에게 선물(뇌물?)의 명목으로 보내주었다는 내용입니다. 이후 이어지는 이야기에서는 사울이 전사하고, 유다족속에서 먼저 다윗을 유다의 왕으로 옹립하게 되는 사건들이 차례로 나옵니다. (나머지 족속들은 사울의 남은 아들을 왕으로 세우면서 한동안은 이스라엘 민족 내부가 약간의 내전상태에 처하기도 합니다.) 사무엘이 살아 있었다면 충분히 한 소리 들을 수도 있었던 모습같습니다.
이렇게 비슷한 비교가 몇가지 더 있습니다. 사울과 아들 요나단이 공공연하게 갈등이 있었던 것처럼, 다윗도 아들 압살롬의 반역 때문에 쫓겨 다니기도 합니다. 사울이 다윗을 전쟁터로 보내서 죽게 만들려고 계략을 꾸몄던 이야기가 나중에 다윗이 밧세바를 취하기 위해 우리아를 격전지 최선봉에 내보내는 계략을 꾸민 이야기로도 연결이 됩니다.
이렇게 보면 최소한 사무엘/열왕기에 드러난 다윗은 찬찬히 들여다보면 고개를 갸우뚱할 부분도 많습니다. 사울이 저지른 여러 잘못들이나 인격적 결함들을 다윗도 따라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사울은 세속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다른 군주들과 비교해 크게 더 나쁠 것도 좋을 것도 없는 인물같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은 왜 사울에게는 엄하게 대하셨고, 다윗에게는 너그러우셨던 것일까요? 다윗이 저지른 죄들의 무게가 사울이 저지른 죄들의 무게보다 가벼웠다고 볼 수 있을까요?
'요즘 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엘 하 vs 역대상 - 언약궤 옮기는 이야기 (0) | 2020.09.27 |
---|---|
사무엘/열왕기 vs 역대기 (0) | 2020.09.26 |
사무엘 상 11장 - 길르앗 야베스 (0) | 2020.09.14 |
시편 59편 + 사무엘 상 19장 (0) | 2020.09.14 |
레위기-율법의 완성자, 예수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