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는 유대인들이 모세 5경 중에서도 제일 먼저 아이들에게 배우게 하는 책이라고 합니다. 마치 어렸을 때 할아버지께 조상님께 제사를 지낼 때는 이러저러해야 하느니라 하는 말씀을 듣는 것 같은 느낌이 떠오릅니다.
레위기는 제목은 '레위'기이지만, 실제로는 레위 족속에 관한 이야기는 딱 세 절만 나옵니다. (어디에 무슨 내용으로 있을까요?) 사실은 대부분은 레위 족속 뿐만 아니라 전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는 규례들의 모음입니다. 고맙게도, 여러가지 복잡해 보이는 규정들을 잘 정리한 도표들이 인터넷에 많이 있습니다. 다만, 수천 년 전 제사의 방식이 예수님 이후, 그리고 현대 사회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가 하는 질문은 더 깊은 생각을 요구하는 듯 합니다. 고대 사회의 상황에 맞춰진 여러 정결 예식이나 공중 위생, 음식에 대한 규정들은 그대로 현대로 가져오기에 곤란한 지점들을 만듭니다.
예수님 시대에도 고대의 규정들을 당시의 상황에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많은 사람들이 고민을 하였습니다. 수 세기가 흐르는 동안 학자들과 랍비들이 여러 상황에 따른 세부 규정들을 만들어 오면서 유대 율법을 각 당대의 실생활에 적용하려 했습니다. 복음서에는 예수님이 율법 규정을 확실히 지키는 부분과 일부러라도 깨뜨리는 것 같은 부분들이 섞여 있습니다. 예수님을 따라다니는 논란의 대부분은 율법의 세부규정이나 관습들을 아랑곳하지 않는 예수님의 태도에서 기인합니다.
유대교에서 율법은 무조건 완전하다는 전제로 시작을 합니다. 그러나 시시때때로 업데이트와 세부규정의 추가가 필요한 '율법'이 과연 그 자체로서 이미 완전한 것인가 하는 근본적인 질문을 피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예수님이 '율법을 완성하기 위해 왔다' (마 5:17)라고 선포하셨을 때 정통 유대인들은 깜짝 놀랐을 것입니다. 이 무슨 말도 안되는 불경한 소리인가!... 왜냐하면 예수님의 선언은 율법이 '아직' 완전하지 않다라는 암시를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사도 바울이 로마서에서 '그리스도는 모든 믿는 자에게 의를 이루기 위하여 율법의 마침이 되시니라' (롬 10:4)라고 이야기했을 때, 좀 열심있다 하는 유대인들이라면 신앙의 근본이 흔들리는 큰 충격을 받았을 겁니다.
레위기는 19장에 나오는 두 구절이 핵심이라고 합니다. 하나는 "너희는 거룩하라 이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거룩함이니라(레 19:2)"이고, 또 하나는 저 유명한 “네 이웃 사랑하기를 네 자신과 같이 사랑하라(레 19:18)"라는 말씀입니다. 앞뒤의 모든 규례들은 이 두가지 원칙에 바탕을 두고 펼쳐져 나간 것입니다. 우리가 레위기를 읽을 때, 예수님의 삶과 가르침에도 함께 비추어 보았으면 합니다. 과연 어떻게 레위기의 대원칙들과 여러 제사와 규례들의 의미가 그분의 삶으로 구현되었는가, 그래서 궁극적인 율법의 완성자가 되셨는가 하는 면에도 관심을 두고 읽어 봅시다.
'요즘 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무엘 상 11장 - 길르앗 야베스 (0) | 2020.09.14 |
---|---|
시편 59편 + 사무엘 상 19장 (0) | 2020.09.14 |
예수님의 유대인 인증 (0) | 2020.05.09 |
불평의 역사: 출애굽기-민수기 (0) | 2020.04.30 |
이름없는 자들에 대한 기억 (0) | 2020.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