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를 생각하면 우리는 모세의 드라마틱한 일생을 주로 떠올립니다. 그야말로 '난세'를 체험 중인 우리에게도 모세와 같은 탁월한 지도자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런 영웅들의 삶을 보며 우리의 신앙의 모범으로 삼는 것이 전통적인 성경읽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성경을 조금 더 세심하게 읽어보면 사실 성경에는 유명한 영웅들 말고도 그저 한두 번 이름이 언급되고 마는 사람들도 많이 나옵니다. 그런 '사소한' 이름들은 우리들은 잘 주목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그들을 기록하고 있고, 하나님은 그들을 기억하십니다.
이번 주에는 출애굽기의 마지막 부분을 읽습니다. 36장 1~2절에는 '브사렐'과 '오홀리압'이라는 낯선 이름들이 나옵니다. 이들은 요즘으로 치면 탁월한 디자이너요, 엔지니어들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개역 성경에서 '마음이 지혜로운 사람, 곧 여호와께서 지혜와 총명을 부으사 성소에 쓸 모든 일을 할줄 알게 하심을 입은 자들'이라는 긴 이름으로 소개된 사람들이 그들을 도웁니다. NIV에서는 'every skilled person', 새번역이나 공동번역에서는 '기술/재주있는 사람'으로도 번역되었지요. 36장 8절에는 '일하는 사람 중에 마음이 지혜로운 모든 사람 /세공인'들도 나오고, 38장 21절에는 아론의 아들 '이다말'이 예산을 짜고 계수를 했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물론 이 사람은 유력한 제사장 가문의 아들이긴 했지만, 요즘으로 친다면 성막 건설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할을 했다고 보면 되는 것 같습니다. 또 수많은 백성들이 기꺼이 성막을 위해 예물을 가져왔다는 구절도 있습니다.
솔로몬이 성전을 지을 때까지 이스라엘 민족의 구심점이 되었던 성막과 언약궤는 이런 사람들의 손길을 통해 세워졌습니다. 성경에 얼핏 지겨울 정도로 규격이나 모양, 재료들을 자세히 언급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한편으로는 거룩함(=구별됨)을 정확하게 알려주신 하나님의 세심함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합니다. 또 한편으로는 그 일을 성실히 수행한 이름 없는 사람들의 수고를 다 기억해 주는 것이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개역판에는 '그'로 나오지만, 영어 번역에는 'They'로 나오는 어떤 사람들은 36장 18절에 나오는 놋 갈고리를 만들었을테고, 또 어떤 사람들은 성막에 세울 널판지를 만들기도 했을겁니다. (36:20-25) 제사장이 입는 옷에 붙이는 작은 장식을 만든 사람들도 있었겠지요. (39:25-26) 모두가 아는 유명인사는 아니더라도 이래봬도 우리 할아버지가 성막에 그릇을 만든 사람이야! 하는 자긍심을 후손들은 가질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 대란을 통해 일상의 소중함을 모두가 체감하고 있습니다. 정부나 질본, CDC의 리더들이 우리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지금 바로 눈으로 보고 삶으로 느끼고 있지요. 하지만 수많은 유튜브나 티브이, 기사들 중에서 가장 사람들의 마음을 울리는 것은 이름없는 사람들의 헌신입니다. 10년, 20년이 지나면 아마도 우리는 지금을 돌아볼 때 신문에 한 줄 나오지 않은 우리 친구와 이웃, 이름도 모르는 어떤 친절한 사람들을 기억할 겁니다. 성경은 그런 사람들의 수고를 기록합니다. 성경을 읽을 때 당시를 살아내었던 이런 이름없는 사람들의 모습을 떠올려 본다면, 지금 우리의 삶과 연결되는 부분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요?
'요즘 글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편 59편 + 사무엘 상 19장 (0) | 2020.09.14 |
---|---|
레위기-율법의 완성자, 예수 (0) | 2020.05.13 |
예수님의 유대인 인증 (0) | 2020.05.09 |
불평의 역사: 출애굽기-민수기 (0) | 2020.04.30 |
기쁜 소식의 시작 (막 1:1) (0) | 2020.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