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상/역대하 초반부의 가장 중요한 사건은 역시 성전의 건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솔로몬이 성전을 봉헌하고 드리는 기도 중에 새롭게 눈에 들어오는 구절들이 있습니다. 왕상 8:12-13에는 솔로몬이 성전은 '하나님께서 영원히 계실 곳'이라고 했습니다. 그런데, 잠시 후 8:27-29에 보면 약간 다른 표현이 나옵니다. 여기서 우선 솔로몬은 하나님은 땅 위의 건물에 계시기에는 너무나 크신 분이시라는 고백을 합니다. 이어서 하나님께서 솔로몬에게 정확하게는 하나님의 '이름'이 그 성전에 있을 것이다라는 것을 알려주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말이 그 말 같지만 이 미묘한 차이가 상당히 큰 의미가 있습니다. 솔로몬이 성전을 짓기 전에는 사사들, 사울, 다윗, 그리고 솔로몬도 '산당'이라는 곳들에 가서 제사를 드립니다. 이 '산당'이란 성물이 모셔져 있다든지, 신비체험을 할 수 있다든지 하는 특수한 장소들을 말합니다. 우리 고대 문화에도 산신령들이 있었던 것 처럼 고대인들에게 '높은 곳'의 의미는 하늘에 가장 가까운 곳, 신들이 인간과 접촉하는 곳으로 여겨졌던 것 같습니다. 어떤 신들은 우상을 세워 놓음으로써 우상신의 임재가 보증되는, 아예 산당에 '거주'한다고 여겨지기도 했었습니다. 솔로몬도 온통 금칠을 한 근사한 성전을 지음으로써 위대하신 하나님이 그 곳에 정착하시려나 하고 잠시 바램을 가졌던 것일까요?

그의 기도에는 '성전을 향해', 혹은 '성전에서' 기도하면 들어달라는 기도의 제목들이 쭉 나옵니다. (아마 지금도 유대인들이 굳이 통곡의 벽에 가서 기도하는 이유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사실, 솔로몬이 구한 것들은 다 하나하나 참 좋은 것들입니다. 무슨 개인적인 이득을 구하는 것이 아니고 지도자로서 진심으로 이스라엘 공동체를 위한 기도였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의 응답은 뜻밖에도 다른 곳에 초점이 가 있습니다.

일단, 성전의 역할은 하나님의 '이름을 기리기 위한 곳'이라고 정확하게 알려주십니다. (왕상 9:3) 조금 거칠게 이야기하면, 하나님의 응답은
1) 성전은 거룩하게 구별되어 하나님께서 기도를 *듣는* 곳이지 무슨 효험있는 부적이나 산당같이 문제를 *해결해 주는* 장소가 아니다,
2) 너는 네 아버지 다윗처럼 살아라... 정도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이 부분은 열왕기와 역대기의 표현이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역대기에는 추가된 부분이 있는데, 7:12 후반부 '이곳을 택하여, 내가 제사를 받는 성전으로 삼았다.'에서 시작해 15절까지의 구절이 더 들어가 있습니다. 역대기는 성전을 막 재건하기 위해 애쓰고 있을 때 쓰여졌기 때문에 아무래도 성전의 특수한 위치를 더욱 강조하였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와중에도 하나님은 단호하십니다. 추가된 15절에서도 성전에서 기도하면 '접수'해 주시겠다는 선에서 딱 끊습니다.

큰 문제들에 대한 하나님이 베풀어 주시는 '해결'의 방법은 그 전에 13-14절에 나타나 있습니다. 솔로몬이 걸었던 '성전을 향해'나 '성전에서' 라는 (쉬운) 조건이 아니고, 공동체("나의 백성")의 '겸비+기도+악한 길에서 떠나면'이라는 (어려운) 조건이 붙습니다. 지극한 신앙적 성취물로서 성전의 '효험'을 기대했던 솔로몬의 마음을 하나님은 꿰뚫어 보신 것 같습니다. 특별히 covid-19 판데믹 시절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바로 이 7:13-14의 말씀은 직접적인 도전과 적용으로 다가옵니다.

그런 의미에서 찬양곡 한 곡:
https://youtu.be/e-jpdObqJz8

 

+ Recent posts